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연차13

연차휴가 Q&A - 코로나, 하계휴가와 연차의 관계 안녕하세요. 노이슈입니다. 오늘도 연차휴가 Q&A로 포스팅을 해볼까 합니다. Q. 코로나 확진자에 대한 격리가 의무에서 권고로 바뀌었는데, 직원들에게 연차를 사용하게 해도 되나요? A. 연차를 강제할 수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연차는 직원의 권리입니다. 본인이 '원하는 시기'에 '유급'으로 '휴식'할 수 있는 것이 연차휴가의 본질이죠.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에 확진된 직원에게는 연차 사용을 권고할 수는 있지만 강제할 수 없습니다. 물론 권고를 빙자한 강제도 불가능하겠습니다. 연차의 사용 시기 지정에 대한 권리가 직원에게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면 유사한 사례들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던 단체연차와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디까지나 권고에 그쳐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Q.. 2023. 7. 14.
연차휴가 Q&A - 회계년도 연차로 전환하기 안녕하세요. 노이슈입니다. 오늘은 다시 연차제도 Q&A로 돌아왔습니다. 이번에 다뤄볼 주제는 입사일 기준 연차를 회계년도 기준으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Q. 현재 입사일 기준 연차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회계년도로 전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A.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직원에게 불리하지 않다면 어떤 방법이어도 상관 없습니다. 아주 간단한 문제입니다.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미 몇 번 말씀드렸듯이 근로기준법에서 연차는 입사일 기준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회계년도는 운영 편의를 위해 인정해주고 있는 제도이며 전제조건은 '근로자에게 불리하지 않을 것'입니다. 연차의 전환도 동일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22년 7월 1일에 입사한 어떤 직원의 연차를 입사일 기준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합.. 2023. 7. 11.
연차휴가 Q&A - 반차와 반반차 안녕하세요. 노이슈입니다. 연차휴가 Q&A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가벼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많은 회사들에서 활용하고 있는 반차와 반반차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Q. 우리 회사에는 반차가 없습니다. 이래도 되는건가요? A. 회사에서 반차를 인정하지 않아도 위법하지 않습니다. 연차휴가에 대한 규정을 다시 한번 살짝 꺼내볼까요? 제60조(연차 유급휴가) ①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조항을 다 살펴볼 필요가 없기 때문에 1항만 가져왔습니다. 연차휴가에 대해서 기존 포스팅에 전반적으로 정리해 놨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 제1항에서는 연차의 발생을 규정하면서 그 단위를 '일'로 하고 있습니다. 제1항을 제.. 2023. 7. 6.
연차휴가 Q&A - 육아기 근로시간단축과 연차휴가 안녕하세요. 노이슈입니다. 연차휴가 Q&A 두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도 연차휴가의 발생에 관한 내용을 다루려고 합니다. Q. 현재 하루 2시간씩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근로시간 단축 때문에 내년 연차가 달라지나요? A.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연차 발생 개수가 달라집니다. 우선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는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근로시간의 일부를 단축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조항을 주요 부분만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제19조의2(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① 사업주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근로시간의 단축(이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라 한다)을 신청하는 경우에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 ③ .. 2023.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