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퇴직금2

연차휴가 - 연차수당과 퇴직금 안녕하세요. 노이슈입니다. 연차휴가에 대한 정리도 이제 어느덧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연차휴가의 발생, 연차사용촉진제도, 연차수당에 대해서 이야기해 봤는데요. 오늘은 연차수당과 퇴직금의 관계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간혹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연차수당이 퇴직금에 반영되는지 여부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차수당은 두 가지 경우에 지급됩니다. 먼저 연차사용촉진제도를 활용하지 않는 기업은 매년도 연차만료시기에 잔여 연차를 수당으로 보상해야 합니다. 두 번째는 직원이 퇴사하는 경우입니다. 연차사용촉진제도의 활용 여부와 관계없이 직원이 퇴직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잔여 연차에 대해 수당 지급이 필요합니다. 퇴직금에 연차수당이 반영되는지는 두 가지 경우에 따.. 2023. 7. 3.
퇴직금 계산,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안녕하세요. 노이슈입니다. 오늘은 퇴직금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퇴직금은 근속기간이 1년 이상인 직원이 퇴직할 경우 계속근로기간 1년에 대하여 평균임금 30일분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그래서 간단히 계산할 때 근속 1년 당 1달치 월급이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하는 경우, 직원에 대해 연간 임금 총액의 12분의 1을 연금계정에 가입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평균임금으로 계산하는 방식과는 다르죠. 오늘은 평균임금이 등장하는 확정급여형퇴직연금제도 또는 퇴직금 제도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퇴직금 계산 평균임금 * 30 * 근속일 / 365 일반적인 퇴직금 계산식입니다. 근로기준법 제2조 제1항 제6호에서 평균임금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평균임금”이란 이를 산정.. 2023. 6. 1.
반응형